본문 바로가기

인문학 탐구생활

[심리] 현대인과 우울증의 상관 관계, 증상은?_1

 

 

 

요즘의 우리가 살아가며 우울증 인구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는 문제가 부각되고 있어요.

급격한 생활방식의 변화, 사회 내외부의 압박, 오프라인으로 편중된 소통, 그리고 끊임없이 경쟁을 겪어야 하는 상황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지요.

 

우리가 우울증 혹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겪는 이유는 아래처럼 정리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여기에 더해, 개인적인 상황이나 발생하는 문제들도 이유가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해요.

 

먼저, 사회적 압박.

경제 활동에 치중된 상황과 코로나를 겪으며 사회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경기를 타고 발생한 고용의 불안정성, 사회와 가정 그리고 타인의 기대 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압박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겪고 있어요. 이런 상황적인 압박이 우울증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고 있죠.

 

둘째로는 디지털화된 소통의 편중과 그로 인한 고립.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모두와의 폭넓고 편한 소통을 가능하게 만들었지만, 동시에 디지털 속에 갇혀 현실에서의 소통 부족으로 사회적 고립을 느끼는 분들이 많아졌죠. 현대인들은 상호 간의 오프라인에서의 연결의 부족과 그로 인한 외로움이 우울증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다고 해요.

 

셋째로는 규칙적이지 못한 생활환경.

불규칙한 식습관, 부족한 육체적 활동, 휴식시간에 대한 부족은 육체적인 건강뿐 아니라 정신적인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죠.

이렇듯 현대화된 생활습관이나 환경의 변화는 우울감과 스트레스를 발생하게 하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합니다.

 

넷째로는 남들과 비교할 수밖에 없는 성과 중심의 사회문화.

사회적인성과에 대한 객관적이고 주관적인 비교가치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자아에 대한 존중이나 자존감이 감소하고, 타인과의 경쟁 속에서 자신을 바라보게 되면서 우울증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SNS 속 화려한 삶, 혹은 연봉이나 처한 위치에 대한 비교를 멈추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돼요.

 

그렇다면 우울증이란 무엇이고 어떤 증상이 따라올까요?

 

우울증은 감정적으로, 생각으로도, 행동적으로도, 신체 건강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해요.

일상적인 모든 생활에서 기쁘거나 희망적이거나 흥분되거나 즐겁거나 에너지가 넘치는 모든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즐기는데 어려움을 주는 형태로 우리를 찾아옵니다.

 

우울증의 주요 증상으로는 아래의 예를 들 수 있어요.

 

1. 기분 하락 (Depressed Mood)

저조한 감정상태는 우울증의 주요 증상 중 하나로, 지속적으로 강력하게 우울한 상태를 말하죠.

일상생활에서 긍정적이고 다양한 감정상태를 느끼거나 유지하기 어려운 상태를 뜻하기도 해요. 

 

- 지속적인 우울감

단기적인 우울이 아닌,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감정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지속적으로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무기력함과 허무감

우울증에서는 일상적인 활동이나 업무에 참여하는 데에 대한 흥미와 에너지가 감소합니다.

삶에 대한 의미나 목표를 잃은 듯한 허무감이 함께 나타날 있습니다.

 

- 취향이 사라짐

평소 즐겨하던 활동이나 취미에 대한 흥미가 떨어집니다.

 

- 사회적 고립

다른 사람들과의 소통을 피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커뮤니케이션 줄어들면서 고립감이 더해질 있습니다.

 

- 신체 증상

피로, 두통, 속쓰림 등 스트레스로 인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어요.

 

- 부정적인 사고 패턴

우울한 상태에서는 자신은 물론 전반적인 상황과 사람에 대한 부정적인 사고 패턴이 커져가고, 이를 통해 자책감과 자신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는 물론 외부적인 상황의 대부분에서 부정적인 사고를 하게 되죠.

 

 

2. 흥미 없음 (Loss of Interest or Pleasure):

우울증의 중요한 증상 중 하나로, 일상생활에서 즐거움이나 흥미를 느끼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말해요.

평소에 즐겼던 활동이나 취미에 대한 흥미가 사라지거나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활동에 대한 무관심

일상 생활에서 중요한 활동들에 대한 무관심으로 이전, 기쁨을주던 일들에 대한 관심이 사라지게 돼요.

맛있는 음식을 먹거나, 친구를 만나거나, 술을 마시거나 하는 모든 행동들을 이야기하죠.

 

- 취미와 활동의 감소

즐기던 취미나 활동에 대한 흥미가 사라져, 무기력해지는 경향, 대외적 활동이나 시간을 보내는 것을 피하는 경향이죠.

 

- 사회적인 이탈

친구들과의 만남이나 모임과 같은 관계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  있습니다.

 

- 이성에 대한 흥미 감소

이성과의 관계나 그에 따른 활동 대한 관심이 줄어들거나 사라질  있어요.

 

- 높아진 무기력감

위에 명시된 모든 활동에 대한 관심 소실은 무기력과 관련이 있고, 외부의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부담스러지죠.

 

- 감정적 공허감

일상에서 느끼던 즐거움이 사라지면서 감정적 공허함 찾아올 수 있고 감정의 깊이의 변화가 발생하기 어려워요.

 

 

3. 에너지 감소 (Fatigue or Energy Loss):

에너지 감소는일상생활을 포함한 모든 활동에너지가 감소하고 일상생활까지도 부담스러워지는 상태를 말해요.

정신적, 감정적, 신체적으로 누적된 스트레스와 우울감으로 인해 나타납니다.

 

-지속적인 피로감

정상적인 활동이나 업무가 지속적으로 어려워지고 평소에 비해 피로감이  빠르고 쉽게 오게 돼요.

 

- 일상 활동의 부담감

새로운 일을 시작하거나 현재의 일을 지속하는 것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모든 일이 지루하고 부담이 돼요.

 

- 신체적인 무기력

 일상적인 움직임에도 영향이 갈 정도로 근육의 힘이 떨어지고, 신체적인 활동이 줄어드는 것을 느끼게 돼요..

 

- 스트레스 대응 불능

스트레스에 대해 반응이 어려워지고 이를 이겨내고자 하는 탄성도 줄어드는 무의욕 상태가 지속돼요..

 

- 숙면 또는 불면 증상

수면 패턴에도 영향을 미쳐 긴장이나 초초, 불안으로 인한 불면증세 혹은 무기력을 동반한 과한 수면장애가 발생할 있어요.

 

- 지속적인 피로함

일주일 이상 지속되는 피로함은 휴식을 취해도 해소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에요.

 

 

 

그 외의 증상들은 다음 포스팅에서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